디도에게 보낸 편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도에게 보낸 편지는 신약성경의 일부로, 바울이 그의 제자 디도에게 보낸 서신이다. 이 편지는 크레타에 남아있는 디도에게 장로와 감독자를 세우는 기준을 가르치고, 이교와 이단에 대한 경고를 담고 있다. 저작 시기와 관련하여, 전통적인 견해는 바울이 직접 기록했다고 보지만, 현대 성서 비평학에서는 문체와 내용의 불일치 등을 근거로 위작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이 서신은 1장 12절의 "크레타 사람은 항상 거짓말쟁이"라는 구절을 통해 자기 언급의 역설의 예시로 인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회서신 - 디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편지
디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편지는 사도 바울로가 디모데에게 보낸 서신으로, 바울의 죽음을 앞두고 디모데에게 거짓 가르침에 맞서 싸우고 믿음을 굳건히 지킬 것을 당부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초기 기독교의 교리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목회서신 - 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
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는 교회 운영과 신앙생활 지침을 담은 서신으로, 저작 시기와 바울의 저작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일부 구절은 다양한 해석과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현대 고등 비평에서는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 크레타의 고대사 - 선형문자 B
선형 문자 B는 미케네 그리스어 표기를 위한 문자 체계로, 음절 문자와 표의 문자로 구성된 약 200여 개의 기호로 이루어져 있으며, 1952년 마이클 벤트리스에 의해 해독되어 크노소스, 필로스 등지에서 발견된 점토판을 통해 전해진다. - 크레타의 고대사 - 미노스 문명
미노스 문명은 기원전 7000년경부터 크레타 섬에서 발전한 청동기 문명으로, 궁전을 중심으로 농산물 저장, 가공, 재분배가 이루어졌으며, 상업과 다신교를 특징으로 하고, 1420년경 미케네 문명의 침략으로 쇠퇴했다. - 로마 제국의 기독교 -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는 사도 바울이 고린토 교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가르침과 권면을 담아 보낸 서신으로, 기독교 신앙의 핵심 교리들을 다루며 특히 13장의 '사랑'에 대한 메시지로 유명하고, 기원후 53-57년경 에페소에서 쓰여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편지이다. - 로마 제국의 기독교 - 미트라교
미트라교는 로마 제국에서 널리 퍼진 고대 종교로, 페르시아의 미트라 신앙에서 기원하여 지하 신전에서 만찬과 비전 의식을 행하고, 기독교와 유사한 점이 있어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디도에게 보낸 편지 | |
---|---|
개요 | |
유형 | 신약성경 서신 |
다른 이름 | 디도서 |
성경 순서 | 56 |
장 수 | 3 |
기록 시기 | 기원후 63년경 |
저자 | 사도 바울로 |
수신자 | 디도 |
주제 | 교회 질서, 건전한 교리 |
저작 시기 및 장소 | |
기록 시기 | 바울로의 첫 번째 로마 투옥에서 풀려난 후, 기원후 63년경으로 추정 |
기록 장소 | 마케도니아 또는 니코폴리스로 추정 |
주요 내용 | |
디도의 역할 | 크레타 교회의 감독자로서 교회 조직과 지도력 강화 |
건전한 교리 강조 | 거짓 교사들의 영향력에 맞서고 신앙 공동체의 건강을 유지 |
신앙인의 삶 | 사회적 책임과 도덕적 행동 강조 |
교회 지도자의 자격 | 감독자와 장로의 자격 요건 제시 |
신학적 의미 | |
교회론 | 교회 질서와 지도력의 중요성 강조 |
구원론 | 믿음과 선행의 조화 강조 |
윤리 | 신앙인의 삶의 중요성과 사회적 책임 강조 |
논쟁점 | |
바울로 서신 진위 여부 | 일부 학자들은 바울로의 저작성을 의심 |
역사적 배경 | 서신의 역사적 배경과 상황에 대한 다양한 해석 존재 |
2. 저작성 및 기록 시기
디도서의 저작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클레어 드러리는 바울이 직접 썼다는 주장은 "처음 보기에는 분명하고 반박할 수 없어 보"이지만, "상황이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편지의 후대적 시기를 나타내는 징후가 만연해 있다"고 언급한다.[8]
디도서의 저작성에 대해서는 크게 세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 바울 저작설 (전통적 견해): 사도행전의 기록을 근거로, 바울이 석방 후 크레타 섬에 디도를 남겨두고, 이후 니코폴리스에서 66년이나 67년경에 디도서를 기록했다는 견해이다.[16][17][34]
- 바울 저작 부정설 (비평적 견해): 성서비평학자들은 디도서가 위경이며, 바울 사후 익명의 저자가 80년대에서 2세기 말 사이에 기록했다고 본다.[28][29]
- 대필설: 바울이 로마서 16장 22절처럼 대필자를 사용했으며, 특히 목회서신의 경우 누가가 작성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견해이다.[19][20][35][36]
디도서는 디모데전서와 유사한 주제에 대해 비슷한 어구나 표현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깊은 연관이 있다.[31][32]
또한, 디도서 1장 12절에는 다음과 같은 언급이 있다.
>그들 중의 어떤 사람, 곧 자기들의 예언자라고 하는 이가 말한 바와 같이 "크레타 사람은 항상 거짓말쟁이이며, 악한 짐승이며, 게으름뱅이이며, 배만 불룩한 자다." (공동번역 성서)
이는 논리학에서 말하는 자기 언급의 역설 (에피메니데스의 역설)의 유명한 예로 종종 인용된다.
2. 1. 바울 저작설 (전통적 견해)
사도행전 27장 7절은 바울이 재판을 받으러 로마로 가던 중 크레타 섬에 방문했다고 언급하는데, 이후 2년간 구류생활을 한 점을 고려하면 이 시기에 디도서를 작성할 수 없다. 따라서 전통적인 해석은, 바울이 석방된 후에 로마에서 아시아로 가면서 디도를 "남은 일을 정리하"도록 크레타 섬에 남겨두었다고 주장한다.[16] 그 후 바울은 에베소로 가서 디모데를 남겨두고, 에베소에서 마케도니아로 이동하며 디모데전서를 기록한 뒤, 디도서에 기록했듯이 마케도니아의 니코폴리스[34]에서 66년이나 67년경에 디도서를 기록했다고 추정한다.[17]최근에는 바울이 로마서 16장 22절에 나오듯 대필자나 비서를 사용하여 편지를 작성했으며, 특히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를 묶어서 칭하는 목회서신의 경우는 누가가 작성했을 가능성에 강조점을 두는 이론이 있다.[19][20] 이는 성경 기록자들을 포함해 고대 시대에 흔히 사용하던 방법이었다.[21][22]
2. 2. 바울 저작 부정설 (비평적 견해)
많은 성서비평학자들은 디모데전서와 디모데후서와 마찬가지로 디도서 역시 위경으로 취급한다.[28] 이들은 목회서신의 언어와 내용을 근거로, 바울이 아닌 익명의 위작자가 바울 사후에 기록한 것으로 본다. 비평가들은 전기적(傳-) 사료들과, 바울이 아닌 초대 신흥교회의 시각을 반영하는 점을 들어 목회서신들을 바울이 작성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이 학자들은 디도서의 연대를 서기 80년대부터 2세기 말까지 높여 추정한다.[29] 잉글랜드 성공회의 공동 기도서 성구 주석 해설서는 "신학적인 주제들과 실제적 주제들을 비교하여 고려했을 때, 이러한 저작이 바울 사후 2세기 후반 교회 공동체가 작성하였다고 간주한다"라고 기록했다.[30]디도서는 디모데전서와 유사한 주제에 대해 유사한 절구들과 표현들이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깊은 연관이 있다.[31][32] 이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디모데 전후서와 같이 기독교인이었던 위작자가 디도서를 기록했다고 믿는다. 이 위작자는 평신도가 아닌 성직자, "목사(the Pastor)"라고 한다.[33]
클레어 드러리에 따르면, 바울 자신이 이 편지와 디모데에게 보낸 편지를 썼다는 주장은 "처음 보기에는 분명하고 반박할 수 없어 보인다. 세 편 모두 사도의 인사로 시작하고 개인적인 메모와 여담을 담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상황이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편지의 후대적 시기를 나타내는 징후가 만연해 있다."[8]
영지주의 작가 바실리데스는 이 서신을 거부했다.[15] 문체나 사상, 바울 시대의 교회 조직 구조와의 불일치 등 때문에, 근대 성서 비평학의 입장에서는 2세기 초에 성립된 위작으로 여겨진다.
또한, 제1장에는
>그들 중의 어떤 사람, 곧 자기들의 예언자라고 하는 이가 말한 바와 같이 "크레타 사람은 항상 거짓말쟁이이며, 악한 짐승이며, 게으름뱅이이며, 배만 불룩한 자다."(디도서 1:12, 공동번역 성서)
라는 언급이 있으며, 논리학에서 말하는 자기 언급의 역설 (에피메니데스의 역설)의 유명한 예로 종종 인용된다.
2. 3. 대필설
최근의 학문 연구는 바울로가 로마서 16:22에 나오듯 대필가, 즉 비서를 사용하여 편지를 작성했으며, 특히 목회서신에는 누가가 작성했을 가능성에 강조점을 두는 이론이 있다.[35][36] 이는 성경 기록자들을 포함해 고대 시대에 흔히 사용하던 방법이다.[37][38]3. 주요 내용
바울이 크레타에 남겨둔 그의 제자인 디도에게 보낸 편지로, 크레타에서 장로와 감독자를 세우기 위한 요청과 그 기준을 가르치고, 이교 및 이단에 대해 경고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25]
디도서의 세속적인 특징 중 하나는 에피메니데스 역설을 언급했다는 점이다. "그들 중 한 사람의 예언자, 크레타인(Cretans)이 말하기를, '크레타인들은 항상 거짓말쟁이들이다.'"[23]
3. 1. 교회 지도자 임명 (1장)
바울이 크레타에 남겨둔 그의 제자인 디도에게 보낸 형식이다.[25] 내용은 크레타에서 장로와 감독자를 세우기 위한 요청과 그 기준을 가르치고, 이교 및 이단에 대한 경고이다.3. 2. 이단 경계 (1장)
에피메니데스의 역설을 인용하였다는 점이 디도서에 담긴 세속적인 특색이다. "한 크레타인 예언자가 '크레타인들은 모두 거짓말쟁이다'라고 말했다"는 것이다.[39] 공통체의 일원으로서, 본인이 소속된 공동체의 모든 개인이 거짓말쟁이라는 이 주장은 아주 유명한 논리 퍼즐이다.바울이 크레타에 남겨둔 그의 제자인 디도에게 보낸 형식([25])으로, 크레타에서 장로와 감독자를 세우기 위한 요청과 그 기준을 가르치고, 이교 및 이단에 대해 경고하는 내용이다.
디도서 1:9에서 바울은 유대 기독교인 중 일부를 거짓교사로 묘사한다.[40][41] 바울은 이 거짓 교사들을 불순종하고 헛된 말을 하며, "자기가 확증하는 것도 깨닫지 못하는[42]" 율법교사들이자 믿음을 타락시키고자 하는 속이는 자들로 묘사한다.[43] 장 칼뱅은 여기서 거짓 교사들(ματαιολογία|마타이올로기아grc)을 유익한 교리와 비교하여,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에 기여하지 못하는 하찮은 교리들을 의미한다고 서술했다.[44]
> 그들 중의 어떤 사람, 곧 자기들의 예언자라고 하는 이가 말한 바와 같이 "크레타 사람은 항상 거짓말쟁이이며, 악한 짐승이며, 게으름뱅이이며, 배만 불룩한 자다." (디도에게 보낸 편지 1:12, 공동번역 성서)
라는 언급이 있으며, 논리학에서 말하는 자기 언급의 역설 (에피메니데스의 역설)의 유명한 예로 종종 인용된다.
3. 3. 그리스도인의 생활 (2-3장)
바울은 디도서 1장 9절에서 유대 기독교인 중 일부를 거짓교사로 묘사한다.[40][41] 바울은 이들을 불순종하고 헛된 말을 하며, "자기가 확증하는 것도 깨닫지 못하는[42]" 율법교사들이자 믿음을 타락시키고자 하는 속이는 자들로 묘사한다.[43] 장 칼뱅은 여기서 거짓 교사들(ματαιολογίαgrc)을 유익한 교리와 비교하여,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에 기여하지 못하는 하찮은 교리들을 의미한다고 서술했다.[44]디도서의 세속적인 특징 중 하나는 에피메니데스 역설에 대한 언급이다. "그들 중 한 사람의 예언자, 크레타인(Cretans)이 말하기를, '크레타인들은 항상 거짓말쟁이들이다.'"[23]
참조
[1]
서적
ESV Pew Bible
https://books.google[...]
Crossway
[2]
웹사이트
Bible Book Abbreviations
https://www.logos.co[...]
2022-04-21
[3]
EB1911
[4]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5]
bibleverse
[6]
bibleverse
[7]
문서
Church History
http://www.newadvent[...]
[8]
간행물
73. The Pastoral Epistles
https://b-ok.org/dl/[...]
2017-11-22
[9]
서적
Forged
https://archive.org/[...]
HarperOne
2011
[10]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Anchor Bible
[11]
서적
Common Worship Lectionary: a Scriptures Commentary
SPCK
[12]
서적
Horae Paulinae
[13]
서적
The New Testament: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Early Christian Writings
Oxford University Press
[14]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15]
wikisource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eries II
[16]
bibleverse
[17]
bibleverse
[18]
bibleverse
[19]
간행물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20]
간행물
Pastoral Epistles
Word, Incorporated
[21]
간행물
Paul and First-Century Letter Writing: Secretaries, Composition and Collection
InterVarsity Press; Apollos
[22]
간행물
Amanuensis
Doubleday
[23]
bibleverse
[24]
문서
聖書の概説
羊群社
[25]
문서
テトスヘの手紙(口語訳)#1:1
[26]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27]
문서
Church History
http://www.newadvent[...]
[28]
서적
Forged
https://archive.org/[...]
HarperOne
2011
[29]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Anchor Bible
[30]
서적
Common Worship Lectionary: a Scriptures Commentary
SPCK
[31]
서적
Horae Paulinae
[32]
서적
The New Testament: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Early Christian Writings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34]
문서
[35]
간행물
The Pastoral Epistles: A Commentary on the Greek Text
W.B. Eerdmans; Paternoster Press
[36]
서적
Pastoral Epistles
Word, Incorporated
2000
[37]
서적
Paul and First-Century Letter Writing: Secretaries, Composition and Collection
InterVarsity Press; Apollos
2004
[38]
서적
Amanuensis
Doubleday
1992
[39]
성경
[40]
성경
[41]
서적
A handbook on Paul's letters to Timothy and to Titus
United Bible Societies
1995
[42]
성경
[43]
서적
1–2 Timothy [and] Titus
InterVarsity Press
1994
[44]
서적
Calvin's commentaries ...
Printed for the Calvin Translation Society
18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